2.1 (변수)는 컴퓨터의 메모리 공간에 이름을 붙이는 것으로 여기에 정수, 실수, 문자열 등의 자료값을 저장할 수 있다.
2.2 파이썬의 =연산자는 '같다'의 등호의 의미가 아니라 '= 연산자 오른쪽의 값을 읜쪽의 변수에 저장하라'는 의미이다. 이 연산자 =를 (대입연산자) 혹은 (할당연산자)라고 한다.
2.3 파이썬에서는 x,y = 100, 200과 같이 한 줄에 여러 개의 변수를 선언하고 이 변수에 값을 동시에 할당할 수도 있는데, 이를 (동시 할당문)이라 한다.
2.4 변수의 이름은 (식별자)의 일종이다. "홍길동", "김철수" 등의 이름이 사람을 구별하듯이 (식별자)는 변수와 변수들을 구별하는 역할을 한다.
2.5 파이썬은 미리 기능을 정의해 둔 코드를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미리 정의한 기능을 (함수)라고 한다.
2.6 컴퓨터의 데이터는 그림과 같이 컴퓨터에 있는 핵심적인 부품인 메인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렇게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한 곳의 위치를 (메모리 주소)라고 한다.
2.7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의 종류를 (자료형)이라고 한다.
2.8 파이썬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한 기본 자료형은 4가지 종류가 있다. 첫 번째는 1이나 2와 같은 (정수형)이다. 두 번째는 3.14와 같은 (실수형)이다. 세 번째는 'Hello'와 같은 (문자열)이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는 참과 거짓을 나태는 (부울)형이다.
2.9 파이썬에서 변수의 자료형을 알려면 변수의 이름에 (type()) 함수를 적용하면 된다.
2.10 객체+.+명령()형식의 구조에서 객체가 .연산자로 구분된 명령을 내릴 때 이 명령을 (메소드)라고 부른다.
2.11 변수는 수학에서 유래한 개념이다. 수학에서 변수는 변할 수 있는 양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호이다. 이 기호는 하나의 특정한 값이 아니라 혀용되는 모든 값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상대되는 개념이 (상수)이다. (상수)는 값이 고정되어 있는 수이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따라하며 배우는 파이썬과 데이터과학] 2장 심화문제 (0) | 2025.03.02 |
---|---|
[따라하며 배우는 파이썬과 데이터과학] 1장 심화문제 (0) | 2025.03.02 |
[따라하며 배우는 파이썬과 데이터과학] 1장 주관식 문제 (0) | 2025.03.02 |
[Python | 웹크롤링, api] 날씨 데이터를 활용한 옷차림 가이드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