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데이터 과학)은 데이터에서 과학적 방법으로 정보나 지식을 추출하는 학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통계학, 컴퓨터 과학, 그리고 데이터가 발생하는 영역과 관련된 학문 분야의 이론과 기술을 융합적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1.2 튜링 상 수상자인 짐 그레이 박사는 뉴턴 이후로 실험 과학과 이론 과학이 주류 과학의 두 축이었다고 주장하였는데, 최근 수십년 동안은 컴퓨터를 이용한 계산 과학이 과학 연구의 방법론으로 자리를 잡았다고 분석했다. 그리고 그는 과학의 네 번째 패러다임으로 (데이터 중심의 과학)이 등장하고 있다고 보았다.

 

1.3 데이터 수집과 정제에 전문적 역량을 가진 사람들을 통칭하여 (데이터 엔지니어)라고 할 수 있다.

 

1.4 최근에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계를 학습시키는 인공지능 기술이 더욱 각광을 받고 있다. 이를 위한 학습 모델ㅇ르 구축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델을 훈련시킨 뒤에 학습된 모델을 배포하는 일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들을 (기계 학습 엔지니어)라고 부를 수 있다.

 

1.5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프로그램)이란 컴퓨터가 해야 할 일을 미리 기록해놓은 작업 지시서 같은 것이다. 우리가 많이 사요용하는 파워포인트나 카카오톡 같은 것들이 모두 (프로그램)이다.

 

1.6 컴퓨터가 수행하는 명령은 0000111100100111...과 같은 이진수 값으로 된 명령이다. 이렇게 기게가 곧바로 이해할 수 있는 명령을 (기계어)라고 한다.

 

1.7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해 사람이 이해하기 쉽게 만든 언어를 (프로그래밍 언어)라고 하며, 이 언어를 이용해 프로그래머가 원하는 일들을 작성한 것을 소스 코드라 한다.

 

1.8 파이썬은 (귀도 반 로섬)이 1991년에 개발한 대화형 프로그래밍 언어로 최근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그는 취미로 파이썬을 만들었지만 파이썬은 아주 인기 있는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가 되었다.

 

1.9 파이썬에서는 프로그래머가 한 줄의 명령어 문장을 입력하고 엔터키를 치면 명령 해석기가 이 명령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명령을 해석하고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파이썬 (인터프리터)라고 한다.

 

1.10 파이썬이나 C 언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문자의 모음을 (문자열)이라고 한다.

 

1.11 (print())는 파이썬의 대표적인 내장함수로 괄호 안의 값을 화면에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1.12 (주석)은 소스 코드에 붙이는 설명글과 같은 것이다. (주석)은 프로그램이 하는 일을 설명하는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며 실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1.13 파이썬은 프로그램을 처음 익히는 초보자를 위한 재미있는 그림 그리기 기능을 제공한다. 이 기능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것이 바로 (터틀 그래픽)이다. 

+ Recent posts